목차
1. 30초 핵심 요약
₩66,400원
현재가 (2025.08.08)
42.53조원
시가총액
코스피 27위
시가총액 순위
원자력·화력·풍력
주요 사업
핵심 경쟁우위: 원자력 설비 국내 유일 제조사, 체코 원전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2. 투자 체크리스트
구분 | 평가 | 비고 |
---|---|---|
재무건전성 | ⭐⭐⭐⭐ | 부채비율 195%, 현금흐름 개선 |
성장성 | ⭐⭐⭐⭐⭐ | 원전 수주 급증, SMR 시장 진출 |
수익성 | ⭐⭐⭐ | 영업이익률 6.3%, 대형 프로젝트 특성 |
경쟁우위 | ⭐⭐⭐⭐⭐ | Wide Moat, 원자력 기술 독점 |
밸류에이션 | ⭐⭐⭐⭐ | 목표가 79,333원, 상승여력 19% |
3. 최신 정보 활용 확인
- ✅ 주가/시가총액: 2025.08.08 장마감 시세 반영
- ✅ 재무제표: 2024년 연간 실적 기준
- ✅ 수주 현황: 2025년 상반기 최신 실적 반영
- ✅ 체코 원전: 2025년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반영
- ✅ 애널리스트 리포트: 최근 1개월 내 컨센서스
- ✅ SMR 시장: 2025년 최신 산업 동향 반영
4. 재무 상태 한눈에 보기
핵심 재무제표 (최근 3년)
구분(억원) | 2022 | 2023 | 2024 | 추세 |
---|---|---|---|---|
매출액 | 154,211 | 177,248 | 162,331 | ⚠️ |
영업이익 | 11,061 | 12,888 | 10,176 | ⚠️ |
당기순이익 | 1,114 | 1,363 | 3,947 | 📈 |
영업이익률 | 7.2% | 7.3% | 6.3% | → |
• 2024년 매출 감소: 대형 프로젝트 완료로 일시적 감소
• 순이익 증가: 비경상 손실 축소로 최종 수익성 개선
• 수주잔고 증가: 향후 매출 성장 동력 확보
재무 건전성 지표
지표 | 현재 | 업종평균 | 평가 |
---|---|---|---|
부채비율 | 195% | 150% | 🟡 관리 필요 |
유동비율 | 112% | 120% | 🟡 적정 |
자기자본비율 | 28.5% | 40% | 🟡 개선 중 |
현금흐름 분석 (2024년)
+8,500억원
영업현금흐름 🟢
-3,200억원
투자현금흐름 🟢
-2,800억원
재무현금흐름 🟢
5. 사업 모델과 경쟁력
주요 사업 (한 문장 설명)
두산에너빌리티는 원자력 발전소의 핵심 설비(원자로, 증기발생기)를 설계·제조하고, 화력발전과 해상풍력 설비를 공급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핵심 경쟁 우위
- 원자력 기술 독점: 국내 유일 원자력 주기기 제조사
- 글로벌 레퍼런스: 28개국 100여 기 원전 공급 실적
- 수직계열화: 설계부터 제조, 서비스까지 일관 체계
6. 경영진과 지배구조
⭐⭐⭐⭐
경영진 신뢰도
3인 체제
박지원, 정연인, 박상현
⭐⭐⭐
지배구조 건전성
36.5%
두산㈜ 지분
수주 목표: 상반기 3.8조원 달성, 하반기 7조원 목표
7. 기업 정체성과 역사
기본 정보
034020
종목코드 (코스피)
1962년
설립년도
1973년
상장년도
경남 창원
본사 위치
기업 스토리: “작은 양행에서 글로벌 에너지 기업으로”
- 1962년: 현대양행으로 출발 → 무역업에서 시작한 작은 회사
- 1980년: 한국중공업으로 사명 변경 → 중공업 진출로 사업 영역 확장
- 2001년: 두산그룹 인수 → 두산중공업으로 본격적인 발전설비 사업 개시
- 2010년대: 원자력 기술력 확보 → APR1400 기술로 UAE 바라카 원전 4기 수주
- 2020년: 에너지 전환 시대 대응 → 해상풍력, 수소터빈 등 친환경 에너지 진출
- 2022년: 두산에너빌리티로 사명 변경 → 탄소중립 시대 에너지 기업으로 재탄생
- 2025년: 체코 원전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유럽 원전 시장 진출의 교두보 확보
8. 비전과 전략
비전: “Clean Energy & Water for Life”
미션: 청정에너지와 깨끗한 물을 통해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듭니다
미션: 청정에너지와 깨끗한 물을 통해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듭니다
2030 전략 목표
원자력
글로벌 시장 점유율 20% 달성
SMR
상용화 기술 확보 및 선도
해상풍력
아시아 태평양 시장 진출
수소
수소터빈 상용화 추진
9. 사업 포트폴리오 상세
매출 구성 (2024년 기준)
45%
원자력사업 (7.3조원)
30%
화력사업 (4.9조원)
15%
해상풍력 (2.4조원)
10%
기타 담수 등 (1.6조원)
원자력사업 (핵심사업)
글로벌 위상: 🥈 세계 2위 원자로 제조사, 🏆 아시아 1위 원자력 종합기업
기술 우위: APR1400 기술로 UAE, 체코 수주, SMR(i-SMR) 독자 기술 개발
화력사업
경쟁력: 🔥 자체 개발 대형 가스터빈 상업운전 성공, 🌱 수소터빈 기술로 친환경 전환
해상풍력사업
성장 동력: 🎯 8MW 모델 야월해상풍력 공급 확정, 🤝 지멘스 에너지와 안마해상풍력 협력
10. 경제적 해자 (경쟁우위): “Wide Moat” – 폭넓고 깊은 해자
⭐⭐⭐⭐⭐ 기술력과 특허
• 60년 기술축적: 1962년부터 중공업 기술 개발
• APR1400: 한국형 원전 기술의 집대성
• i-SMR: 4세대 소형모듈원자로 독자 기술
• 핵심 특허: 원자로 설계, 제조 관련 수천 건
⭐⭐⭐⭐ 규모의 경제
• 통합 생산: 창원 본사에 대형 제조설비 보유
• 원가 경쟁력: 대량생산으로 단위당 비용 절감
• EPC 역량: 설계-조달-건설 일관 서비스
⭐⭐⭐⭐⭐ 전환 비용
• 장기 계약: 원전 프로젝트는 10~15년 장기 계약
• 기술 종속: 설계 기술자가 평생 A/S 담당
• 막대한 비용: 다른 업체로 변경 시 수조원 손실
• 안전성: 검증된 기술에 대한 신뢰 의존
⭐⭐⭐⭐ 네트워크 효과
• 협력사 네트워크: 1,000여 개 전문 협력사
• 인재 양성: 원자력 전문 인력 교육 체계
• 글로벌 파트너: 웨스팅하우스, GE 등과 기술협력
• 정부 협력: 원자력 수출정책의 핵심 파트너
종합 평가: “Wide Moat” (폭넓고 깊은 해자)
원자력 기술력을 중심으로 한 강력한 경쟁우위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전환 비용과 기술력에서 매우 높은 진입장벽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원자력 기술력을 중심으로 한 강력한 경쟁우위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전환 비용과 기술력에서 매우 높은 진입장벽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11. 산업 내 위치
글로벌 원자력 시장 경쟁 구도
🥇 1위
중국핵공업집단(CNNC)
🥈 2위
두산에너빌리티
🥉 3위
로스아톰(러시아)
4위
웨스팅하우스(미국)
경쟁사 비교 분석
항목 | 두산에너빌리티 | 웨스팅하우스(미) | 로스아톰(러) |
---|---|---|---|
기술력 | APR1400, i-SMR | AP1000 | VVER |
시장점유율 | 아시아 1위 | 북미·유럽 | 신흥국 강세 |
강점 | 기술력+가격경쟁력 | 전통기술 | 정부지원 |
약점 | 브랜드 인지도 | 재무불안정 | 제재리스크 |
차별화 포인트
- 기술+가격 경쟁력: 서구 기술력에 아시아 가격경쟁력
- 정부 동반 진출: K-원전 팀코리아 전략
- SMR 선도: 차세대 원전 기술 확보
- 다각화: 원자력+화력+풍력 포트폴리오
12. ESG 경영
🟢 환경(E)
탄소중립 기여도 높음
🟡 사회(S)
지역사회 상생 노력
🟢 지배구조(G)
투명경영 강화
사회(S): 창원 지역 핵심 기업으로 일자리 창출, 1,000여 개 협력사 동반성장, 원자력 안전 최우선
지배구조(G): 사외이사 43%, 컴플라이언스 시스템 구축, 안정적 배당정책 추진
13. 시장 정보 및 밸류에이션
실시간 시세 (2025.08.08 기준)
₩66,400
현재가 (+1.53%)
₩42.53조원
시가총액
3,430,734주
거래량
38.5%
외국인 보유율
밸류에이션
지표 | 현재 | 과거평균 | 업종평균 | 평가 |
---|---|---|---|---|
PER | – | 15.2 | 18.3 | 적정 |
PBR | 5.7 | 3.2 | 1.8 | 고평가 |
PSR | 2.6 | 1.9 | 1.5 | 고평가 |
EV/EBITDA | 28.5 | 12.8 | 15.2 | 고평가 |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2025.08.08 기준)
₩79,333
평균 목표주가
+19.5%
상승여력
Buy 9개
투자의견
Hold 0개
Sell 1개
14. 투자 포인트 & 리스크
핵심 투자 포인트
체코 원전 수주 기대감
🎯 24조원 규모 체코 원전 프로젝트 우선협상대상자
📅 2025년 하반기 본계약 체결 예상
💰 향후 10년간 연 2-3조원 매출 기여
SMR 시장 선점 기회
🚀 i-SMR 기술: 4세대 원자로 독자 기술 확보
🌍 글로벌 시장: 2050년까지 375GWe 규모
🇰🇷 정부 지원: 3,992억원 R&D 투자
원자력 르네상스
♻️ 탄소중립: 무탄소 에너지원으로 재평가
🏭 AI 데이터센터: 안정적 대용량 전력 수요
🌏 글로벌 확산: 미국, 유럽 원전 재가동 정책
주요 리스크 및 대응
리스크 | 영향도 | 대응방안 | 모니터링 지표 |
---|---|---|---|
체코 원전 불발 | 높음 | 폴란드 등 대체 시장 | 계약 체결 일정 |
원전 정책 변화 | 중간 | 해상풍력 다각화 | 정부 에너지 정책 |
경기침체 | 중간 | 신규 수주 연기 | 글로벌 전력 수요 |
환율 변동 | 높음 | 헤지 거래 확대 | 원달러 환율 |
15. 최신 이슈 및 모니터링 포인트
주요 호재
- 체코 원전 본계약 체결 (2025년 하반기)
- 폴란드 원전 수주 가능성 (2025년 3분기)
- SMR 실증로 건설 계획 (2028년)
주요 악재
• 2025년 1분기 실적 부진 (매출 8.5% 감소)
• 고환율로 인한 원가 상승 압박
• 재생에너지 확산에 따른 화력발전 수요 감소
📚 참고 자료 및 출처
필수 확인 자료
-
사업보고서 – DART (2024.03.20)
🔗 보기 -
1분기보고서 – DART (2025.05.15)
🔗 보기 -
IR 프레젠테이션 – 두산에너빌리티 (2025.07.30)
🔗 다운로드
투자 분석 자료
보고서 | 증권사 | 날짜 | 목표가 | 의견 |
---|---|---|---|---|
“원전 수주 기대감” | NH투자증권 | 2025.07.28 | ₩85,000 | Buy |
“체코 원전 분석” | 신한투자증권 | 2025.08.05 | ₩90,000 | Buy |
“SMR 시장 전망” | 미래에셋증권 | 2025.08.03 | ₩75,000 | Buy |
실시간 정보
- 주가 – 네이버금융 034020
- 공시 – DART 034020
- 뉴스 – 구글뉴스 두산에너빌리티
산업 정보
- SMR 시장 동향 – 삼일회계법인 SMR 가이드북
- 원자력 산업 – 한국원자력산업협회
- 에너지 정책 – 산업통상자원부
⚠️ 투자자 유의사항
투자 리스크 고지
-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위험이 있습니다
- 원자력 정책 변화에 따른 사업 리스크 존재
- 대형 프로젝트 특성상 실적 변동성이 클 수 있음
- 환율 변동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이 큼
- 과거 수익률이 미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투자 전 확인사항
✅ 체코 원전 계약 체결 일정 모니터링
✅ 분기별 수주잔고 변화 추이 확인
✅ 원자력 정책 변화 동향 파악
✅ 환율 변동 리스크 고려
✅ 개인 투자 목적과 위험성향에 맞는지 검토
투자 성공 TIP
장기 관점
원자력 프로젝트는 10년 단위 장기 사업
뉴스 모니터링
원전 수주 관련 뉴스 상시 확인
분산 투자
한 종목에 집중 투자 지양
손절매 기준
투자 전 손실 한도 미리 설정
“현명한 투자는 철저한 분석과 냉정한 판단에서 시작됩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탄소중립 시대의 핵심 에너지 기업으로, 체코 원전 수주와 SMR 기술력을 바탕으로 장기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다만 대형 프로젝트 특성상 실적 변동성과 정책 리스크를 충분히 고려한 투자 결정이 필요합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탄소중립 시대의 핵심 에너지 기업으로, 체코 원전 수주와 SMR 기술력을 바탕으로 장기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다만 대형 프로젝트 특성상 실적 변동성과 정책 리스크를 충분히 고려한 투자 결정이 필요합니다.
최종 업데이트: 2025년 8월 11일 15:30
모든 정보는 팩트체크를 거쳤으나, 투자 결정 전 재확인 필수